윈도우10 SMB 포트 차단
SMB(Server Message Block)란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끼리 공유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하지만 SMB를 사용하게 되면 랜섬웨어 감염에 취약하기 때문에
SMB포트를 차단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SMB 포트로는 TCP에 139, 445 / UDP에 137, 138 이 있습니다.
■ [프로그램 및 기능]에서 차단하기
1. 작업표시줄 검색창에서 [제어판]을 치고 들어갑니다.
2. 보기기준을 [범주]로 선택하고 [프로그램 제거]를 눌러줍니다.
3.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SMB 1.0/CIFS 파일 공유 지원], [SMB 다이렉트] 체크 해제 -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4. 잠시 기다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다시 시작을 눌러 재부팅을 해줍니다.
■ 윈도우 방화벽에서 차단하기
- TCP 139, 445번 포트 차단하기
1. 윈도우 작업표시줄 검색창에 wf.msc(Windows Defender)를 입력하고 들어갑니다.
2. [인바운드 규칙] - [새 규칙] 순으로 들어갑니다.
참고로 인바운드란 외부에서 내PC로 들어오는 경우를 말합니다.
3. 새 인바운드 규칙 마법사에서 [포트] -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4. [TCP선택] - [특정 로컬 포트 : 139, 445 입력] - [다음]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5. [연결차단] - [다음] 버튼을 눌러줍니다.
6. [다음]을 눌러줍니다.
7. 이름과 설명을 입력한 뒤 [마침]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8. SMB차단이란 새로운 규칙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UDP 137, 138번 포트 차단하기
위의 TCP 포트 차단 과정 중 4번 과정에서 UDP를 선택하고 137, 138번 포트를 입력하면 됩니다.
이하 나머지 과정은 똑같습니다.
이상 끝!!
'IT > 컴퓨터 P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파일 사진용량 한꺼번에 줄이기 (0) | 2023.03.27 |
---|---|
한글2010 한영자동변환 기능해제 방법 (0) | 2023.03.25 |
VirtualBox 네트워크 개념 및 설정 (0) | 2023.03.24 |
사설IP 공인IP 개념 (0) | 2023.03.22 |
VirtualBox 호스트키 설정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