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

[CentOS8] 콘솔모드 해상도 변경 CentOS8 콘솔모드 해상도 변경 1. vi /etc/default/grub 명령어를 통해 설정파일 편집모드로 들어갑니다. 2. quiet 뒷부분에 한칸 띄고 'vga=해상도값'을 추가합니다. [해상도 설정값] 640*480 800*600 1024*768 1280*1024 1600*1200 8bit 769 771 773 775 796 16bit 785 788 791 794 798 24bit 786 789 792 795 799 3. :wq! 명령어를 통해 저장 후 파일 편집을 마칩니다. 4.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명령어를 통해 변경내용을 적용합니다. 5. reboot 명령어를 통해 재부팅합니다. 6. 재부팅하면 화면해상도가 변경되어 부팅될 겁니다. 이상 끝!! 2023. 3. 30.
한글파일 사진용량 한꺼번에 줄이기 한글파일 사진용량 한꺼번에 줄이기 ● 한글(HWP) 파일에 사진 첨부가 많이 되어 용량이 너무 커진 경우 한꺼번에 용량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1. 문서 내에 아무 그림이나 클릭합니다. 2. 아래 그림처럼 [용량줄이기 설정]을 클릭합니다. 3. 아래처럼 설정하고 확인 클릭. 해상도를 낮출수록 용량은 줄어듭니다. 4. 다시 아래와 같이 들어가 [모든 그림에 바로 적용]을 클릭해줍니다. 이상으로 한글파일 내 사진용량을 한꺼번에 줄이는 법을 알아봤습니다. 2023. 3. 27.
한글2010 한영자동변환 기능해제 방법 한글2010 한영자동변환 기능해제 방법 'antp'라는 영어를 쳐야되는데 이걸 치면 자꾸 '무세'라는 한글로 자동변환된다. 이 자동변환 기능을 해제하려면 [도구] - [글자판] - [한영 자동 전환 동작] 체크 된 것을 해제해주면 된다. 이상 끝!! 2023. 3. 25.
VirtualBox 네트워크 개념 및 설정 VirtualBox 네트워크 개념 및 설정 ● 목차 - 기본개념 - VirtualBox 네트워크 방식 1. NAT방식 2. NAT Network방식 3. Bridge방식 4. 호스트 전용 방식 ● 기본 개념 [호스트OS] = VirtualBox를 실행시킨 PC(보통 Windows10) [게스트OS] = VirtualBox 내에서 실행시킨 OS [사설IP 대역] 10.0.0.0 ~ 10.255.255.255(10.0.0.0/8) 172.16.0.0 ~ 172.31.255.255(172.16.0.0/12) 192.168.0.0 ~ 192.168.255.255(192.168.0.0/16) ***[참고] 사설IP 공인IP 개념 https://insight7777.tistory.com/13 사설IP 공인IP 개념.. 2023. 3. 24.
사설IP 공인IP 개념 사설IP 공인IP 개념 ● 사설 IP(Private IP) - 공인IP가 아닌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IP로써, 가상IP라고도 한다. - 사설IP는 국제 표준에 의해 특수목적으로 예약된 IP로 사설 IP대역을 목적지 IP주소로 갖는 패킷은 발견 즉시 라우팅하지 않고 폐기함. - [IPv4 주소] 사설IP 대역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에서 사설 네트워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세 개의 IP대역을 할당 A Class : 10.0.0.0 ~ 10.255.255.255(10.0.0.0/8) B Class : 172.16.0.0 ~ 172.31.255.255(172.16.0.0/12) C Class : 192.168.0.0 ~ 192.168.255.255(1.. 2023. 3. 22.
VirtualBox 호스트키 설정 VirtualBox 호스트키 설정 ● 호스트키란? VirtualBox 내에 실행되는 OS = 게스트OS VirtualBox를 실행시킨 OS(보통 Windows10) = 호스트OS 게스트OS에서 호스트OS로 마우스 제어를 옮기려 할때 사용하는 키 ● 설정방법 1. VritualBox에서 [파일]-[환경설정]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2. 환경설정 창에서 [입력]-[가상머신]-[호스트 키 조합]에서 호스트키를 설정한 후 확인버튼을 누릅니다. 3. 게스트OS를 실행시켜 보면 우측하단에 현재 설정된 호스트키 조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 Ctrl+Alt키로 호스트키가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 끝!! 2023. 3. 22.